페이스북 IPO 공모가 38달러… 기업가치 1천40억 달러올해 시장 최대어로 관심을 모았던 페이스북의 기업공개(IPO) 공모가격이 최종 확정됐다.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은 IPO 공모가격이 주당 38달러로 결정됐다고 17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삼성전자, 세계 최초로 '20나노 4Gb 모바일 D램' 양산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20나노급(1m/10억) LPDDR2(Low Power Double Data Rate 2) 4기가비트(Gb) 모바일 D램을 공급하며 4Gb 메모리 시장 확대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지경부, 부산 임베디드 SW업계와 지역 소프트웨어 활성화방안 논의윤상직 지식경제부 차관은 16일 부산 센텀시티 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서 부산지역 임베디드 소프트웨어(SW) 기업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애로사항을 청취한 후 산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임베디드 SW는 셋톱박스와 휴대전..
아리랑3호 1차 허가… 예정대로 18일 오전 1시 39분 발사일본 규슈 남단 가고시마현의 다네가시마섬 남쪽 해변에 자리 잡은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18일 오전 1시 39분 우리나라의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발사된다. 최해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실용위성3호 ..
2012 서울국제3D페어 15일 개막… "3D를 통해 세계를 보다"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2012 서울 국제 3D 페어'가 15-18일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행사는 '3D를 통해 세계를 보다'라는 주제로 열리며, 경쟁력 있는 3D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전..
라이벌 소니·파나소닉, 삼성·LG전자 대항 위해 뭉친다… OLED TV 기술 제휴 추진일본 전자업계의 라이벌인 소니와 파나소닉이 한국의 삼성전자와 LG전자에 대항하기 위해 뭉친다. 두 업체의 제휴가 실현될 경우 일본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하면서 라이벌 구도를 형성했던 업체가 주력 사업에서 협력하는 첫 ..
해외 언론 삼성전자 55인치 OLED TV 연일 호평블룸버그, 엔가젯, 씨넷(CNet) 등 전 세계 경제·IT 관련 유수 언론들이 지난 10일 삼성전자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공개한 55인치 대형 슈퍼 프리미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에 대해 연일 호평을 쏟아내는..
야후 "학력위조 의혹 스콧 톰슨 CEO 사임"야후는 공식 프로필에 올린 학력을 위조했다는 의혹을 받아온 스콧 톰슨신임 최고경영자(CEO)가 CEO 자리에서 물러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CNN머니 인터넷판이 13일(이하 현지시간) 전했다. 이에 따라 톰슨 CEO..
美법원, 구글 특허침해 관련 오라클 배상결정 요청 기각오라클과 구글의 특허분쟁과 관련, 오라클이 담당 윌리엄 알섭 판사에게 구글이 특허침해에 대한 배상책임이 있다는 판결을 내려줄 것을 요청했으나 기각됐다고 미 실리콘밸리 일간 새너제이 머큐리뉴스가 10일(현지시간) 보도..
공룡기업 NHN 내우외환에 이해진 억장이 무너진다… '공룡처럼 되나?' 우려 커져국내 최대의 인터넷 공룡기업 NHN이 내우외환에 시달리며 휘청거리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인터넷 검색시장에만 지나치게 매달린 결과, 모바일 시장 등 급격한 시장의 변화에 발빠르게 대처하지 못해 실적 부진이 계속되고..
"엘피다 인수 마이크론, 차세대반도체로 삼성전자에 도전"일본의 D램 반도체 생산업체 엘피다 인수가 유력한 미국의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차세대반도체로 한국의 삼성전자에 도전할 것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 4위 D램 생산업체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스콧 톰슨 야후 신임 CEO 학력 위조 의혹야후의 신임 최고경영자(CEO) 스콧 톰슨이 학력 위조 의혹을 받고 있다고 3일(현지시간) 로이터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야후의 지분 5.8%를 가진 최대 기관투자자이며 야후 이사회 주도권을 놓고 공개적으로 다..
SK하이닉스, 엘피다 인수 포기… 최태원 "인수 추진 안한다"SK하이닉스가 세계 3위 D램 반도체 생산업체인 일본 엘피다 인수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SK하이닉스는 그동안 엘피다 인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실사를 벌여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4일 대치동 서울사무..
삼성·LG전자, 핵심기술 빼간 중국 IT 기업 BOE "처벌 말라" 탄원서 제출삼성전자와 LG전자가 불법으로 국내 디스플레이 기술을 빼간 중국 IT 기업에 대해 처벌하지 말아 달라는 탄원서를 검찰에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3일 수사당국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기술 유출 피해 당사자인 삼성전자와..
검찰, 삼성SMD 'OLED 기술유출' 관련 LG디스플레이 압수수색검찰이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 유출 사건과 관련해 LG디스플레이(LGD)를 압수수색했다. 3일 검찰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수원지검은 삼성SMD OLED 기술 중국 유출 사건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