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도엽 장관 "전월세 상한제 부작용 커" 반대 입장 밝혀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은 새누리당 총선공약개발단에서 검토 중인 '전월세 상한제'에 대해 "전월세 상한제는 전면적 또는 일부 시행에 대해서도 부작용이 더 크다고 본다"며 종전 국토부의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최근 이..
주택금융공사, 1월 주택연금 신규가입 218명… 전년동월比 45.3%↑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지난달 한 달간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 수가 218명으로 전년 동월(150명) 대비 45.3%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보증공급액은 3천304억원으로 전년 동월(2천102억원) 대비 57.2..
뉴타운 구조조정 후폭풍으로 재개발 지분값 석달만에 하락세서울시의 박원순式 '뉴타운 구조조정' 구상이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낸 이후 서울의 재개발 지분가격이 3개월만에 약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월 서울 재개발 지분의 3.3㎡당 평균 가..
공정위, 일산 자이 분양률 '뻥튀기' 광고한 시행사에 시정명령일산 자이 아파트의 시행사인 디에스삼호가 분양률을 부풀려 광고하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명령을 받았다. 9일 공정위에 따르면, 디에스디삼호는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 자이 아파트 분양광고를 하면서 지난 2008년 6월부터..
서울시 "용산개발, 주민의견 수렴해 결정"… 용산개발도 박원순식 추진서울시는 '단군 이래 최대 도심 개발사업'인 31조 규모의 용산 국제 업무지구 조성 사업에 포함된 한강변 아파트 철거와 관련, 주민의견을 수렴한 뒤 방침을 정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시는 현재 사업 시행자인 드림..
월세 상승 15년 만에 최고… 소형·경기도 급등전세 가격 급등의 여파로 지난해 월세가 15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소형일수록, 그리고 지역별로는 경기도에서 급등했다.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해 월세지수는 102.6..
'뉴타운 일몰제' 도정법 시행일부터 산정… 일몰제 당장 적용 안해일정 기간 사업이 진척되지 않으면 정비구역 지정을 취소할 수 있는 '뉴타운 일몰제'가 관련 법 시행일 이후부터 적용될 예정이어서 당장 사업이 취소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31일 서울시와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
서울 뉴타운 등 610곳 원점 재검토… 영등포·수색뉴타운 등 대거 해제될 듯서울 지역 뉴타운·재개발·재건축 대상 1천300곳 중 사업시행 인가 이전 단계에 있는 610곳이 실태조사와 주민의견 수렴 등을 통해 사업시행 여부를 다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서울 지역 뉴타운 대상 지역의 절반 정도..
국세청, 탈세 '악덕 부동산임대업자'와 전면전 돌입거액의 세원을 찾고 영세상인 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운계약서를 작성하고 임대료를 줄여 신고하는 악덕 부동산임대업자에 대해 국세청이 전면전에 들어갔다. 30일 국세청 등에 따르면, 국세청은 부동산 임대로 막대한 부..
2월부터 보금자리론 금리 0.2%P 인하한국주택금융공사는 2월 신규대출분부터 장기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인 `보금자리론' 금리를 0.2%포인트 인하한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대출 만기 최장 30년까지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유(u)-보금자리론' 기본형 ..
전국 미분양 아파트 수 2개월 연속 증가전국의 미분양 아파트 수가 두달 연속 증가했다. 특히 신규분양이 몰린 경남에서는 미분양 아파트 수가 전월 대비 50% 늘어났다. 국토해양부는 19일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수가 전월(6만7천40가구) 대비..
지난해 리츠 18개 증가해 총 70개… 자산 8조원 넘어국토해양부는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투자회사(리츠) 수가 전년 말(52개) 대비 18개(35%)가 증가한 총 7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영업인가를 받은 리츠는 32개였지만 영업인가 심사 강화 등..
서울시, 주변 시세 20~30% 수준 대학생 임대주택 413실 공급서울시가 연내에 월세 가격이 주변 시세의 20~30% 수준인 대학생 전용 임대주택 413실을 공급한다. 서울시는 17일 올해 보증금 100만원에 월세 8만~16만원을 내고 거주할 수 있는 대학생 전용 임대주택인 '희..
금융회사, 부동산 침체로 금융-부동산 융합 나서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계속되면서 기존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로는 수익 창출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자 대형 금융회사들이 금융과 부동산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찾기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