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LG화학이 개발한 친환경 가소제 원료

LG화학, 폐플라스틱 원료 친환경 가소제 개발

LG화학이 버려지는 페트(PET)병을 통해 바닥재 원료인 친환경 가소제를 만들어 플라스틱 순환 체계를 구축한다고 26일 밝혔다. 가소제란 물질의 점성이나 소성을 줄이는 첨가제로 물질의 물리적 속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
LG유플러스의 최신 IDC '평촌2센터'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축구장 6개 규모 IDC 평촌2센터 준공

LG유플러스가 최근 경기도 안양시에 친환경 초대형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인 ‘평촌2센터’의 준공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평촌2센터는 지하 3층, 지상 9층으로 설계되었으며, 총면적은 축구장 6개 규모와 비슷한..
썩지 않고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플라스틱 쓰레기들

다가오는 일회용품 규제, 사각지대 해결 방법은?

정부가 지난 2022년 11월 요식업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한 지 약 1년, 오는 11월 23일이면 계도기간이 끝나고 과태료 처분이 시작된다. 그러나 실제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
네이버와 한국수자원공사의 PPA 계약 체결식

네이버·수자원, 수력발전 재생에너지 PPA 체결

네이버가 한국수자원공사와 수력발전 재생에너지 공급을 위한 직접전력거래계약(PPA)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PPA는 발전소와 사용자가 전력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거래하는 전력 공급 방식이다. 계약에 따라 한국수자원..
LG유플러스가 개발한 양자내성암호 기술 USIM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양자 암호 기술 적용 산업용 USIM 상용화

LG유플러스가 보안 칩 전문 기업 ‘아이씨티케이홀딩스’와 함께 양자내성암호와 물리적 복제 방지 기술이 동시 적용된 산업용 ‘PQC PUF-USIM(퍼프유심)’을 상용화했다고 25일 밝혔다. PQC는 양자 컴퓨터를 통..
LG유플러스가 개발 중인 오픈 랜 장비

LG유플러스, 오픈 랜 플랫폼 구축 사업 박차

LG유플러스가 최근 글로벌 플랫폼 제조사들과 국내 최초로 오픈 랜 공용 플랫폼 시험 검증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오픈 랜'이란 기지국 등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해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 ..
LG화학의 미국 이차전지 이노베이션 센터 개소식

LG화학, 美 조지아주서 이차전지 이노베이션 센터 개소

LG화학이 첨단기술 선도 지역인 북미에서 차세대 전지 소재, 친환경 소재 등 3대 신성장동력 관련 미래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LG화학은 미국 조지아주에 북미 이노베이션 센터 개소식을 열고, 조지아공과대학과 신기..
SK C&C와 국내 AED 기업간의 IOT 기반 AED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MOU 체결식

SK C&C, IoT 기반 AED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협약 체결

SK C&C가 긴급상황을 대비한 응급조치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SK C&C는 국내 대표 자동심장충격기(AED) 기업들과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심장충격기 통합 관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SK가스와 한국통합물류협회의 친환경 물류 생태계 구축 협약식

SK가스, 택배업계와 친환경 물류 생태계 구축 나서

최근 친환경 사업을 확장하는 SK가스가 국내 택배업계와 친환경 물류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SK가스는 지난 23일 택배업계와 '친환경 액화석유가스(LPG) 1t 트럭 물류 생태계 공동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
삼성생명 본사

삼성생명, AI 기반 OCR 시스템 구축

삼성생명이 비대면 청구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광학문자인식(AI OCR)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모바일이나 홈페이지 등으로 비대면 신청하는 보험금 청구가 증가하면서 필요 서류의 자동..
LG이노텍의 구미 사업장 전경

LG이노텍, AI 기반 설계도 사전 분석 시스템 개발

LG이노텍이 반도체 기판 설계도의 결함을 자동으로 찾아내는 AI 기반 설계도 사전 분석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성능이 높아진 AI를 통해 제품의 초기 수율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