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 1차 협상 14일로 나흘 연기돼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는 오는 10일 베이징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1차 협상이 중국측의 일정조정 요청으로 인해 14일로 나흘 연기됐다고 7일 밝혔다. 그러나 일정이 조정되더라도 의제 및 참..
솔로몬·한국·미래·한주 저축銀 '영업정지' (상보)업계 1위인 솔로몬저축은행과 미래, 한국, 한주 등 4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됐다. 금융위원회는 6일 오전 임시 회의를 열어 이들 저축은행을 퇴출 대상으로 결정하고 이날 오전 6시를 기해 6개월 영업정지와 경영개선명령..
미래저축銀 김찬경회장, 중국 밀항시도중 해경에 체포영업정지 심사를 받고 있는 미래저축은행 김찬경 회장이 4일 중국으로 밀항하려다 인천항에서 해경에 체포됐다고 SBS가 단독 보도했다...
이 대통령 "원전 납품비리 철저히 조사하고 제도개선책 마련할 것"이명박 대통령은 4일 "얼마 전 발생한 고리 1호기 정전사건 은폐나 원전 부품 납품비리는 원자력발전에 대한 국민 신뢰를 떨어뜨리는 일로, 철저히 조사해 책임을 묻고 제도 개선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
한·중 FTA 1차 협상 오는 10일 베이징서 개최한국과 중국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첫 협상을 오는 10일 베이징에서 갖는다고 외교통상부가 4일 밝혔다. 1차 협상의 한국측 수석대표는 최석영 외교통상부 FTA 교섭대표이며 중국측 수석대표는 위지앤화 상..
한중, FTA 협상 개시 공식 선언한국과 중국이 자유무역협정(FTA)의 협상 개시를 공식 선언했다. 한중 양국은 2일 오전(현지시간) 베이징 시내 상무부 청사에서 박태호 통상교섭본부장과 천더밍 상무부장을 수석대표로 해 회담을 가진 후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 내수 활성화 시 수출기업 對中 수출 위축 우려"중국 내수 경제가 활성화되면 우리나라 수출기업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은 2일 '중국경제의 내수 활성화 가능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중국 경제가 내수와 수출에 균형을 이..
홍석우 "무역 2조달러 시대 열려면 대기업 협력사 투자·일자리 창출 힘써야"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2일 "무역규모 2조달러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대기업들이 협력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더욱 많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이날 오전 롯데호텔에서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최로 ..
내수·수출 동반 부진에 3월 광공업생산 3.4% 감소… 두달 만에 다시 악화내수와 수출이 동반 부진한 탓에 대부분 실물 지표가 지난달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공업생산은 전월 대비로 3.4% 줄어들면서 두 달 만에 다시 축소세로 돌아섰으며, 경기선행지수는 지난달과 같았지만 경기동행지수..
국가통계포털 들어가 물가 대비 우리집 씀씀이 확인하세요앞으로 국가통계포털에 들어가면 물가 대비 우리집 씀씀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통계청은 30일 각 가정이 느끼는 물가가 공식 소비자물가와 왜 다른지 알 수 있도록 국가통계포털(KOSIS, http://..
3월 경상수지 30억 달러 흑자… 수출 호조에 흑자폭 증가지난달 경상수지가 수출 호조 덕에 3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흑자폭이 대폭 커졌다. 한국은행은 27일 지난 2월 5억6천만 달러였던 경상수지 흑자가 3월 30억4천만 달러로 흑자폭이 크게 ..
OCED, "한국은 대내외 경제여건 훌륭히 극복하는 세계 모범정부"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재발하더라도 우리나라가 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정책 여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우리나라 정부가 대내외 경제여건을 훌륭하게 극복하는 세계 모범정부라고 치켜세웠다..
1분기 GDP 2.8% 성장… 전 분기 대비 0.9% 성장올해 우리나라 1분기 경제성장률이 2년 반 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기저효과' 탓으로 전 분기 대비로는 0.9% 성장, 한은은 경기가 성장경로를 따라 회복 중이라고 평가했다...
현대경제연구원 "하반기부터 수출 실적 크게 개선… 10%대 수출증가율 보일 것"우리나라 수출 실적이 하반기에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5일 내놓은 '수출 경기 회복의 기대 요인' 보고서에서 최근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한국의 IT 수출 경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