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소비심리 약 3년만에 최악"고물가에다 유럽 재정 위기 등으로 인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경제성장세 둔화, 가계대출금리 상승 등이 겹치면서 소비심리가 크게 악화돼 삼성경제연구소가 조사하는 소비자 심리지표가 약 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삼성..
국민이 쓸 수 있는 소득 중 가계대출 비중 70% 육박… 사상 `최대'지난 1년간 우리 국민이 실제로 쓸 수 있는 소득에서 가계 대출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육박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악화일로는 걷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로 국..
[한-EU FTA 발효 후 3개월] 수출은 고작 0.8%↑ 수입은 무려 26.5%↑올해 7월 한국-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이후 3개월 동안 수출은 고작 0.8% 증가한데 반해 수입은 무려 26.5%나 증가하면서 수입 증가율이 수출 증가율을 압도한 것으로 파악됐다. 13일 지..
자영업자 100원 벌면 21원은 빚갚아… 부채 크게 증가자영업자들은 100원을 벌면 그 가운데 약 21원은 빚을 갚는 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계속해서 줄어들던 자영업자가 최근 들어 증가세로 돌아서 업체수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로 자영업자들의 재정상황이 앞으로 ..
박재완 "신흥국 경기도 나빠져 국내 경제 악영향 우려"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양호했던 신흥국도 경기의 하강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국내 경제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전망했다. 박 장관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박재완 장관, `고용대박' 표현 유감 표명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취업자가 50만명 이상 증가하며 호조를 보인 10월 고용지표를 두고 '고용 대박'이라고 표현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박 장관은 이날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
3분기 물가, 16개 시도 중 절반이 5%대… 평균 4.8%16개 시ㆍ도의 절반가량이 3분기에 5%대의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했다. 10일 통계청의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3분기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올랐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5.5%로 가장 높았고, ..
생산자물가 상승률 5.6%… 연중 최저로 떨어져지난달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연중 최저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6%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5.3% 이후 가장 ..
서비스업 '고용 대박' 주도… 제조업은 3개월 연속 고용 줄어10월 취업자가 17개월만에 무려 50만명이 넘게 늘어나며 고용 대박을 기록한 것은 서비스업에서 일자리가 많이 생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경기에 민감한 제조업은 취업자가 3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게다가 미국 ..
10월 취업자 50만1천명 증가… 17개월만에 50만명대 '고용 서프라이즈'10월 취업자 수가 17개월 만에 50만명 이상 증가하며 '고용 대박'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9년 만에 2%대로 떨어졌다. 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0만1천명 늘어..
"내년 산업경기 올해보다 약화… 내수산업 불황 예상"내년 산업경기가 올해보다 전반적으로 약화되는 가운데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 내수 관련 산업이 불황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개발도상국에 대한 수출 증가에 힘입어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해운업, 조선업은..
올해 1인당 국민소득(GNI) 2만3천弗대… 사상최대 전망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GNI)이 2년 연속 2만달러대를 유지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6일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이 2만3천500~2만4천달러가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
신제윤 "농산물 수급안정돼 가격안정세 지속될 것"농수산물 가격의 안정세로 인해 10월 소비자 물가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3%대로 떨어진 가운데, 신제윤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당분간 농수산물은 수급이 정상화되면서 가격안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 차관은 최근..
"쌀·라면 등 식료품값 인상이 가장 부담"SK플래닛 오픈마켓 11번가(www.11st.co.kr)가 자사 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소비자들이 생필품 중에서 가격이 인상되는 것을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것은 쌀·라면 등 식료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