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신라면 지수' 발표… "신라면 가장 비싼 곳 호주·가장 싼 곳은 홍콩"농심은 21일 세계 주요 10개국의 신라면 가격을 비교한 '신라면 지수'를 발표했다. 농심이 이날 발표한 신라면 지수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한 미국, 영국, 독일, 중국, 일본, 호주, 말레이시아, 태국, 홍콩 등 ..
외국IB들 "韓 실업률 개선되고 부동산가격 15년간 안정" 전망외국 투자은행(IB)들은 앞으로 우리나라 실업률이 점차 개선되고 부동산 가격은 15년 동안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했다. 또 우리나라와 아랍에미레이트(UAE)의 교역과 투자가 큰 폭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입물가 상승률 22개월 만에 최저… 고유가에도 기저효과로 하락지난달 수입물가 상승률이 고유가에도 기저효과로 2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석유제품은 30%대의 상승률을 기록해 물가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올 2월..
삼성경제연구소 "소비부진 계속시 2020년 잠재성장 0.6% 하락"민간 소비 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2020년 잠재성장률이 2011년보다 약 0.6%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4일 펴낸 '소비부진 진단과 대책' 보고서에서 "소비부진이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정부 '성과공유확인제' 확산 본격 추진정부가 대기업-중소협력기업 성과공유확인제(이하 성과공유제) 확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모델인 성과공유제는 대-중소기업이 공동의 협력활동을 통해 성과가 나면 이를 사전에 계약한 대로 나누는..
`물가관계장관회의'에 장관은 없고 차관만 북적북적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매주 주재하고 있는 물가 관계장관회의에 관계부처 장관들이 거의 참석하지 않으면서 `차관회의'로 전락하고 있다. 회의의 `좌장'인 박재완 장관은 급기야 '장관 출석률을 점검하겠다'며 최근 회의..
국세청 "외국계 기업 정기 세무조사 축소… 세무간섭 최소화"김문수 국세청 차장은 14일 외국계 기업에 대한 정기 세무조사를 축소해 세무간섭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차장은 이날 코리아나호텔에서 암참 등 외국 상공회의소 관계자와 IBM, GE 등 외국계 기업 국내지사의 최..
방사성 오염 우려에 '일본산 명태·고등어' 음식점 공개 추진인체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지만 방사성 물질이 최근 다량으로 검출돼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일본산 명태와 고등어의 원산지를 음식점에서 공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국민들의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방..
만 50세 이상 국민연금보험료 5년치 선납 가능오는 7월부터 만 50세가 넘는 사람은 최대 5년치의 연금보험료를 선납할 수 있게 되고, 영세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와 사용자에게 연금보험료가 일부 지원된다. 보건복지부는 다음달 3일까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국민..
"연말부터 음식점 고기가격 100g 기준으로 표시해야"올 연말부터 음식점들은 메뉴판에 고기가격을 100g을 기준으로 표시해야 하고, 부가세나 봉사료가 붙는 경우에는 이를 포함한 가격을 명시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식품위생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
박재완 "한미FTA 결실보려면 가꾸는 정성이 중요"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라는 과일나무가 잘 자라서 누구나 과일을 맛볼 수 있으려면 심는 노력 못지않게 가꾸는 정성이 중요하다"면서 철저한 FTA 후속조치를 주문했다. 박 장관은..
서울시, 임금체불 근로자에 직접 임금 지급 추진서울시가 임금 체불이 확인되는 근로자에게 임금을 직접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시는 연초 임금 체불을 민생침해 7대 분야 중 하나로 지목하고 집중 관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는 13일 임금 체불 등 불공정한 하..
식료품 물가 급등으로 저소득층 가구 엥겔계수 6년만에 최고지난해 식료품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저소득층 가구의 엥겔계수가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엥겔계수는 20.7%로 2005년(20.7..
생산자물가지수 6개월만에 상승폭 확대… 물가에 빨간불국내 생산자물가지수가 6개월만에 상승폭이 확대돼 물가에 다시 빨간불이 들어왔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2012년 2월 지수는 지난해 2월보다 3.5%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