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부파이낸스 양재혁 전 회장 실종, 경찰 수사 나서부산 삼부파이낸스 양재혁(58) 전 회장의 실종신고가 접수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양 전 회장은 13년여전인 1999년 유사수신행위로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혀 부산 서민경제를 뿌리채 뒤흔든 장본인으로, 현재..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회장 차남 사기혐의로 실형 선고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회장(73)의 차남이 재개발사업에 뛰어들었다가 수익성을 부풀려 30억원을 가로챈 사기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았다. 19일 검찰과 법원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부장판사 김환수)는 1..
'서민 최후 경제보루' 보험계약 해지 급증서민의 최후 경제 보루인 보험 계약을 해지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보험 해지는 서민들이 극심한 경기 불황 탓에 먹고 살기가 어려워지자 선택한 궁여지책이지만 보험 가입 후 3개월 안에 계약을 해지하면 한 푼도 받..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불량대출자' 연간 80만명… 저소득층 직격탄`불량 대출자'가 최근 1년간 80만명 쏟아진 가운데 10명 가운데 2명꼴로 소득이 적은 저신용층에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가계부채 부실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석동 "은행들, 가계대출자 원리금 상환부담 줄여야"김석동 금융위원장은 13일 간부회의를 열고 은행들이 가계대출자의 원리금 상환부담을 줄여주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집값 하락으로 담보인정비율(LTV) 한도 초과 대출이 속출하는 데 대해 "상환 요구..
은행권 분쟁 조정신청 2배 급증… 국민은행 불명예 1위2분기 은행권과 고객의 분쟁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조작 의혹, 부당 가산금리 부과, 대출서류 조작, 학력차별 대출 논란 등으로 인해 은행권의 위신과 신뢰도가 추락한 가운데 대출 ..
금감원, HSBC·SC은행 '자금세탁' 여부 점검금융당국이 국외에서 불법자금세탁 의혹이 불거진 HSBC 서울지점과 SC은행을 긴급점검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9일 HSBC 및 SC은행의 미국과 멕시코 등에서 발생한 불법 자금세탁 혐의와 관련해 HSBC 서울지점과 ..
"비과세 재형저축 대상에 적립식 펀드·보험도 포함"비과세 재형저축 대상상품에 예·적금뿐 아니라 적립식 형태의 펀드, 보험 등도 포함된다. 따라서 총급여 5천만원 이하인 근로자나 종합소득금액 3500만원 이하인 사업자가 만기 10년 이상의 적립식 펀드나 보험에 가입하..
우리은행 지점장 가담한 50억대 어음 위조 사기 '충격'예금증서의 하나인 표지어음을 위조해 47억 원가량의 불법 대출을 받은 전·현직 은행원들이 경찰에 붙잡혔다. 위조 사기단에는 현직 은행 지점장도 포함돼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 서초경찰서는 50억원대 은행 표지어음을 ..
한은 금통위 "수출·내수 부진으로 한국 성장세 둔화"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9일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지난달 성장이 '부진'했다는 표현에서 한 발 더 나가 "수출·내수의 부진으로 한국의 성장세가 둔화했다"고 밝혔다. 또 유로존 리스크 증대, 주요 교역상..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0% 동결한국은행이 9일 기준금리를 연 3.0%로 동결했다. 한은은 이날 중구 소공동 한은 본관에서 김중수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0%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달 금리 인하의 효과를 당분..
"외환은행, 대출이자율이 가장 높아"최근 시중은행들의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담합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5년간 대출이자율이 가장 높았던 시중은행은 외환은행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 CEO 성적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는 KB국민..
박재완 "부동산 투기 거의 없어져… 금융소득세 정상화해야"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부동산 시장의 상황이 많이 바뀌어 현재 투기가 거의 없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KBS 뉴스에 출연해 이날 발표한 정부의 세법개정안에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제를 폐지한..
박재완 "100세시대·선진경제에 걸맞게 세제개편… 감세 기조 유지"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발표한 세법개정안에 금융소득종합과세 강화, 대기업 최저한세율 상향 조정 등을 포함했음에도 그동안 지적된 소득 과세의 취약점을 개선하고 공평과세를 확립하고자 미세조정을 한 것일 뿐 감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