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우크라이나 쿠카리 마을에서 파괴된 농장 주변

러시아 침공 결정적 배경은 우크라 풍부한 자원

우크라이나의 풍부한 자원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유 중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가 28일(현지시간) 진단했다. 러시아의 침공에는 안보 요인과 우크라이나라는 국가가 실제로 존재한..
바이든 대통령

바이든, 우크라에 42조원 추가 지원…"韓, 가스 협력"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침공을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330억 달러(약 42조255억 원) 규모의 예산안을 의회에 추가로 요청했다. 또 러시아가 갑작스레 가스 공급을 중단한..
러시아, 폴란드·불가리아 가스공급 중단 (냐스비주 AP=연합뉴스)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 끊자…유로화 가치 5년 새 최저

러시아가 유럽연합(EU) 일부 회원국에 대해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한 여파로 유로화 가치가 최근 5년 사이 최저지로 떨어졌다. 이와 달리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미국 달러화의 가치는 반대로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준으..
나토

스웨덴·핀란드 나토 가입 현실화…발트해 긴장 고조

북유럽의 중립국 스웨덴과 핀란드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이 현실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막고 나토의 동진(東進)을 저지하겠다는 명분으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으나 오히려 나토 확장이..
뉴욕증시

머스크, 55조원에 트위터 인수 합의

전기차 업체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위터를 440억 달러(약 55조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트위터가 자사를 머스크에게 주당 54..
미국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美 국무·국방, 키이우 방문…젤렌스키와 심야 회동

미국의 외교, 국방장관이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면담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밤늦게 수도 키이우(키예프)에서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
코로나 봉쇄로 인적 끊긴 상하이 (상하이 로이터=연합뉴스)

상하이 봉쇄로 물류대란…세계공급망 혼란 가중

중국 '경제수도' 상하이 봉쇄가 중국을 넘어 전 세계 공급망 혼란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상하이 전체를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파월 연준 의장 "5월에 50bp 금리인상 논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이끄는 제롬 파월 의장이 50bp(1bp=0.01%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을 공식화했다. 파월 의장은 21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 총회에서 열린 국제경제에 관한..
일본 코로나 썸네일용

일본 코로나 확진자 4만명대…감소세 지속

20일 NHK의 일본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에 따르면, 전날 하루 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는 4만893명이다. 일본의 누적 확진자 수는 744만8603명이다. 또한 후생 노동성에 따르면, ..
20일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현황

20일 WHO 전세계 코로나 확진자 현황 (종합)

20일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발생현황 집계에 따르면, 0시 기준으로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5억0313만1834명, 누적 사망자는 620만571명이다. WHO의 권..
일본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 [도쿄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엔저 심화에 日 대규모 금융완화 바뀔까

지난달 이후 엔화 가치가 가파르게 떨어지면서 일본 중앙은행이 대규모 금융완화 기조를 바꿀지 주목된다. 최근의 급격한 엔화 약세는 국내외 금리차에서 비롯됐다. 따라서 미국과 마찬가지로 금리를 올리는 게 가장 효과적인 ..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세계은행,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4.1%→3.2%로 하향

세계은행(WB)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1% 포인트 가까이 하향 조정했다. 외신에 따르면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18일(현지시간) 컨퍼런스콜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경제 전반의 타격으로 올해..
14일 베이징의 럭셔리 매장 [AFP=연합뉴스]

중국 리스크 고조에 글로벌 자금 이탈 가속

러시아 제재 등 중국을 둘러싼 리스크가 커지고 수익은 감소하자 글로벌 투자자들이 중국에서 이탈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8일 보도했다. 서방의 러시아 제재 이후 중국도 같은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했다...